『The Image of the City』

Kevin Lynch, “The Image of the City”, MIT Press, 1964

케빈 린치(Kevin Lynch)는 도시란 사람들의 마음 속에 그려지는 이미지라고 말한다. "명확하고 강한 도시 이미지는 인간에게 정서적 안정감을부여하고, 외부 세계와 조화로운 관계를 설정해주며 도시경관의 판독성(legibility)를 높여준다"고 한다.

The City Image and Its Elements

Path

통로는 지역과 지역 사이를 연결하는 동선 네트워크다. 도시 전체에 질서를 부여하는 가장 유력한 수단이며, 공간적 개성과 분명한 방향을 가져야 한다. 방향이 불분명하면 경험자는 불안함을 느낀다. 통로는 가로, 산책로, 운하, 철도와 같은 선형요소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통로를 도시의 핵심 요소로 인식한다. 보스턴의 사례에서, 도시를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보스턴을 지형과 넓은 지역, 일반화된 특징들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보스턴을 잘 아는 사람들은 통로 구조에 익숙했으며, 구체적인 경로와 그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있었다. 가령 보스턴의 피험자들은 워싱턴 스트리트를 쇼핑과 극장에 연관지어 생각했고, 로스엔젤레스의 피험자들은 브로드웨이를 군중과 교통량으로 인지했다.

주요 통로를 파악하기 어려운 도시는 그 이미지도 불분명하다.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통로는 연속성을 가지며, 이는 기능적으로도 필수적인 요소다. 통로의 기본적인 요구 사항은 이를 이용하는 사람이 실제 궤도나 포장 도로의 바닥을 통과해야 한다는 점이다.

Edge

경계는 해안이나 강, 철로에 의해 단절되는 지점이다. 통로와는 또 다른 도시의 선형 요소로, 통로가 경계인 경우도 있다.

District

구역은 도시보다는 작은 면적을 가진 2차원적 공간이다. 경험자는 심적으로 ‘그 안에’ 들어가 있다고 감각한다. 구역마다 고유의 공간적 질감과 개성이 있다.

Node

교점은 관찰자가 진입할 수 있는 전략적 지점으로, 일반적으로는 통로의 교차점이나 어떠한 특성의 접합점이다. 교점은 개념적으로는 도시 이미지의 작은 포인트이지만, 실제로는 큰 광장이나 선형 요소, 또는 구역일 수도 있다. 사람들은 다른 지점보다 교점을 중심으로 결정을 내린다. 교점은 사람들이 출발지 또는 목적지로 삼는 주요 지점이기 때문에 핵심적인 장소이기도 하며, 교차로나 지하철역, 기차역이 교점이 되기도 한다.

피험자들은 보스턴의 시내에 들어섰다는 느낌을 주는 특정 지점이 있다고 말했다. 어떤 이들은 보스턴에 정차하는 첫 기차역을 그 지점으로 생각했는데, 그들이 기차역을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감각했다. 비슷하게, 저지의 피험자들은 토넬 로터리를 지날 때 도시를 나간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Landmark

랜드마크는 한 공간을 상징할 수 있는 물리적인 요소다. 기념물, 타워, 산처럼 시각적으로 여러 각도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 문서를 인용한 문서

  • 건축학
  • 도시감각
    • 케빈 린치(Kevin Lynch)가 『The Image of the City』에서 말한 '이미지’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