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폭력저항
비폭력저항은 폭력적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억압에 대응하는 저항방식이다.
사례
- 인도 시민 불복종 운동
- 발트해 3국 노래 혁명
- 중국 천안문 광장 시위
- 한국 3.1 운동
실제
<비폭력 시민운동은 왜 성공을 거두나?>에서 저자들은 1900~2006년 사이 시민혁명 사례 323개를 분석하여 200여개의 폭력저항과 100여개의 비폭력저항을 분류했다. 폭력저항의 성공률은 26%, 비폭력의 경우 53%였다. 저자들은 비폭력 저항이 더 많은 참여자를 끌어들일 수 있고, 더 많은 참여자들이 이끌어낸 시민혁명은 참여자들을 각성시키고 지속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민주주의를 유지하는데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비폭력 저항이 가능한 상황이라면 애초에 성공 가능성이 더 높은 환경이 아니었을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어보인다.
비폭력 저항 연구자들은 천안문 광장의 저항이 왜 실패했는지 의문을 가졌다. 당시 시위를 주도한 셴통은 시위 과정에서 목표를 상실한 것이 실패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원래 시위의 계획은 학생조직을 통해 민주화 운동을 지속하고, 언론을 통해 인민대중의 지지를 획득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실제 시위 참여자들은 광장에서 단번에 모든 것을 얻고자 했다. 시위 참여자들은 정부의 타협안에 비타협으로 일관했고, 정부 강경파가 주도권을 잡으면서 광장이 고립되고 인민의 지지가 느슨해지는 순간 저항을 일망타진했다. 이러한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비폭력 저항에 실용적 목표와 조직적 역량, 물적 자원에 대한 접근성 등 명확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참고자료
이 문서를 인용한 문서
- 철학
- 폭력저항
-
왜 어떤 비폭력저항은 성공하고, 어떤 저항은 실패하는가?
-
- 『2013헌다1 통합진보당 해산』
-
저항권은 공권력의 행사자가 민주적 기본질서를 침해하는 경우 이를 회복하기 위해 국민이 폭력, 비폭력, 적극적, 소극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는 국민의 권리이자 헌법수호제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