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시기본계획(1966)
서울도시기본계획(1966)은 서울시에 관한 최초의 '마스터 플랜’으로, 인구 관리와 산업 배치 등 포괄적인 국가 경제 정책에 맞추어 서울시 전체를 계획의 범위에 넣고, 목표연도 1985년, 목표인구 500만명을 설정한 계획이다.
서울광역권을 중심시가지역, 교외지역, 녹지지역, 주변지역으로 구분해 개발방향을 제시했으며, 용산을 중심으로 하는 도심과 창동, 천호, 강남, 영등포, 은평을 부도심으로 하는 1도심 5부도심 체계를 설정했다. 도심은 정치행정의 중심지로, 입법부는 남서울(현 영동)로, 사법부는 영등포로 분산배치했다. 주택지는 도심, 부도심 주변에 고층화를 유도했으며, 도심을 중심으로 부도심과 연결되는 방사형태의 집중형 가로망 체계를 구상했다.
물론 서울에 관한 도시 계획은 이전에도 존재했다. 1928년 작성된 <경성도시계획조사서>는 경성부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를 수행하고, 용도에 따른 도시 계획 지구를 설정해 도시 계획 사업의 재원과 관계 법령 등을 정리했다. 1965년 서울도시계획위원회가 서울특별시에 보고한 <서울도시계획>에는 이 내용이 거의 그대로 되풀이 되었다. 이와 달리 1966년 서울도시기본계획은 일제강점기 이래 유지되어 온 도시 계획의 전체 구성을 답습하지 않았으며, 과거에 수집된 데이터를 뛰어넘는 미래를 상정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서울도시계획>의 대서울지역구분도를 보면, 서울과 외곽지역을 도심을 중심으로 동심원에 따라 구분했다. 이러한 내용은 서울도시기본계획에도 반영되어 서울 도심에 과도하게 집중된 인구를 분산하기 위해 이 동심원을 기준으로 부도심을 배치하고, 이 부도심이 쉽게 확장되는 것을 막기 위해 자연 지세 또는 녹지에 의한 차단을 의도했다. 여기서 구분된 동심원은 이후 내부순환도로, 그린벨트, 외곽순환도로 등으로 실현되었다.
원남로-퇴계로, 영천 지구 재개발을 위한 조사 및 기본 계획
1967년 김수근건축연구소가 서울시에 제출한 재개발 보고서에 서울도시기본계획이 언급된다. 이 보고서는 세운상가 주변 블록과 종묘 일대, 그리고 영천 지구의 재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 조사를 담고있다. 세운상가가 1966년 착공했으므로, 이 보고서는 완공될 세운상가를 놓고 그 일대를 어떻게 개발할 수 있을지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 보고서에는 서울도시기본계획에 대한 비판이 포함되어 있는데, “도시가 상정해야 하는 대상이나 도시 형성의 기본 엘리먼트 또는 도시 구성 원리 등에 관해서 전혀 서울 마스터 플랜은 아무것도 말하지 않고 있다. (…) 서울 마스터 플랜은 대단히 대수롭지 않은 계획이다”, “분산시킨다고 분산이 되는 도시 기능은 어디에도 없다”, "도심의 도시 기능을 계속적으로 고밀도화 해야 한다"와 같은 주장이 담겨있다.
시정종합계획
목표연도를 1985년으로 설정한 서울도시기본계획의 목표인구 500만은 계획이 발표된지 불과 4년 뒤인 1970에 이미 넘어섰고, 수도권 인구집중억제의 강화로 인한 제반여건의 변화를 부분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었다. 이로 인해 서울도시기본계획은 1971년 시정종합계획에서 수정되었다.
시정종합계획의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도심 재개발의 계획의 기본 구상 중 첫 번재로 부상했다는 점이다. 서울도시기본계획에도 "시가지 중심부를 재개발하면서 변두리에 새로운 부도심적 기구를 조성하여 기능 분산을 꾀한다"는 추상적인 내용이 언급되기는 했지만, 시정종합계획에는 "과감한 재개발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 초고층 시가지"로 바꾼다는 내용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