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텔카스텐』
숀케 아렌스, “제텔카스텐”, 김수진 역, 인간희극, 2023.
제텔카스텐은 독일 사회학자 니클라스 루만의 메모 방법이다. 다작을 한 것으로 유명한데, 그 비결은 그가 가진 특유의 메모법으로 추정된다.
루만에게는 메모 상자가 두 개 있었다. 하나는 서지정보와 문헌의 내용에 관한 짧은 메모를 모아둔 '서지 메모 상자’였고, 다른 하나는 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주로 독서한 내용에 대한 자신의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만들어내는 역할을 안 '주 메모 상자’였다.
그는 무엇이건 읽을 때마다 카드 용지 한쪽에 서지정보를 적고, 뒷면에는 읽은 내용에 대한 짤막한 메모를 남겼다. 이 메모는 서지 메모 상자에 들어갔다. 그리고 얼마 뒤에는 짤막한 메모를 훓어보면서 그의 고유한 생각, 직접 창작한 글과 관련성이 있는지 따졌다. 그런 다음 빈 종이에 자신의 아이디어와 논평, 생각들을 적고 '주 메모 상자’에 넣었다. 새로 메모를 할 때는 기존 메모들을 참고하면서 작성했고, 그 참조를 명시적으로 언급했다.
메모에는 네 종류가 있는데, 이 유형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 임시 메모: 불현듯 머리에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메모한다. 말그대로 임시 메모이기 때문에 형식이나 완결성은 따지지 않는다. 하루 이틀 뒤면 폐기할 것이다.
- 문헌 메모: 무언가를 읽으면 그 내용과 서지 정보를 메모한다. 선별적으로, 아주 짧게, 내용은 자신만의 표현으로 적는다. 베껴 쓰는데 집중하지 말고, 그 의미를 파악하면서 적는다. 이러한 문헌 메모는 '서지 메모 상자’에 넣어둔다.
- 영구보관 메모: 정기적으로 임시 메모와 문헌 메모를 살펴보면서 자신의 생각과 유의미하게 관련되는지 따져본다. 이때 메모를 보며 끊임없이 질문한다: 새로운 정보가 이미 가진 것과 모순되는가? 이를 수정하거나 뒷받침해야 하는가? 여러 아이디어를 조합해서 새로운 것을 창출할 수 있는가? 이 메모는 완결적으로, 명확하게 작성하며, '주 메모 상자’에 영구보관한다.
- 프로젝트 메모: 특정 하나의 프로젝트에만 관련된 메모다. 프로젝트별 폴더에 보관하며, 프로젝트가 끝나면 폐기할 수도 있다. 해당 프로젝트와 관련된 문헌들, 초안, 해야 할 일, 개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책에서는 임시메모, 영구보관용 메모, 프로젝트 메모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는데, 나는 '서지 메모 상자’에 들어가는 문헌 메모를 별도 유형으로 구분했다.
어떤 주제를 두고 하향식으로 브레인스토밍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 상자를 살펴보면서 상향식으로 아이디어를 쌓는 것이 좋다. 처음 생각한 주제와 아이디어에 매달리지 않고, 메모를 살펴보며 유연하게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다.
루만의 메모 상자는 선형적이었다. 즉, 메모를 내용의 카테고리에 따라 트리 형태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 상자에 넣은 순서에 따라 링크드리스트로 연결한다. 이렇게 해야 메모가 맥락을 얻을 수 있고, 하나의 메모를 보면서 그와 관련된 다른 메모를 우연히 발견할 수 있다. 메모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면 집단지성이 사라진 개인 위키피디아가 된다.
이 문서를 인용한 문서
- 🪴Simonpedia
- 총류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가이드북』
-
『제텔카스텐』 방식이 도움이 될 것 같다.
-
- Goodbye 2024
-
📖 숀케 아렌스, 『제텔카스텐』, 2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