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 수학 2장. 합』

표기법

  • 3점 표기: 1+2+3++(n1)+n1 + 2 + 3 + \dots + (n - 1) + n

  • 시그마를 사용하는게 가장 유명한 표기법: k=1nak\sum_{k = 1}^n a_k

    • 1에서 n까지의 k들에 대해 합하라.

    “변수 k가 시그마에 묶여(bound)있다.”

    • 일반 시그마 표기: 1k<100(k는 홀수)nk2\sum_{\substack{1 \leq k \lt 100 \\ \text{(k는 홀수)}}}^n k^2
    • 한계 명시 표기: k=049(2k+1)2\sum_{k = 0}^49 (2k + 1)^2
  • APL에서 소개된 아이버슨 표기법. 명제가 참이면 1, 거짓이면 0을 반환하도록 정의:

    [p는 소수]={1,만약 p가 소수이면; 0,만약 p가 소수가 아니라면. [p \text{는 소수}] = \begin{cases} 1, \text{만약 p가 소수이면; } \\ 0, \text{만약 p가 소수가 아니라면.} \\ \end{cases}
    • P(k)P(k)가 거짓이면 항 ak[P(k)]a_k[P(k)]는 0이므로 합산되는 항에 포함되어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kak[P(k)]. \displaystyle \sum_{k} a_k[P(k)].

합과 점화식

  • Sn=k=0nakS_n = \sum_{k = 0}^n a_k는 다음 점화식과 동일하다: S0=a0,Sn=Sn1+an,n>0S_0 = a_0, S_n = S_{n - 1} + a_n, n \gt 0에 대해

합의 조작

다중합

일반적인 방법들

유한/무한 미적분

무한합

이 문서를 인용한 문서